누리호 발사대 이송, 기립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2)의 3차 발사를 앞두고 23일 오전중에 누리호는 전라남도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체 조립동에서 발사대로 이송되었으며, 1.8km를 이동하여 오전 8시 54분에 도착했습니다.
누리호는 무인특수이동차량, 즉 트랜스포터에 실려서 나로우주 센터 종합조립동에서 제2 발사대로 약 1시간 34분 가량에 걸쳐 이송되는 계획을 거쳐, 전원, 연료, 산화제 및 추진체 충전을 위한 기밀 정밀 검사 등을 발사전 준비단계로 수행할 예정입니다.
모든 이송에서부터 기립 과정에서의 특이사항이 발견, 발생되지 않는다면, 발사대로의 설치작업 종료는 저녁 7시 이전 종료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준비작업 이후 특이점 발생없으면 24일 오후 6시 24분에 발사는 예정되어 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역사
누리호는 설계에서 제작, 모든 시험의 프로세스를 국내 자체 기술로 개발되었다. 개발 사업의 1단계에는 추진기관 시험설비 및 엑체엔지(7톤급) 액체엔지 연소시험이었으며, 2단계 누리호는 75톤급 액체엔진의 성공적인 개발과 시험발사체를 2018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 7번째로 75톤급 이상의 액체로켓엔지, 소형급이 아닌 중대형급 엔진 기술을 확보하며 세계 항공우주의 더 한발짝 나아가게 됩니다.
이후 엔진 4기를 하나로 묶는 clustering 기술이 적용된 종합연소시험을 계획하여 1차 비행실험이 2021년 10월21일 진행, 이후 2022년 6월21일 2차 비행시험으로 누리호 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 2023년 5월 24일 비행시험이 또 진행될 예정입니다.
누리호의 엔진성능 실험
누리호의 가장 큰 성과라고 본다면, 한국형발사체의 중심에 있는 엔진에 대한 독자적인 기술일 것이다. 엔진에 들어가는 베어링을 제외하고는 모든 부품의 국산화이다.
액체엔진은 연소기(고온, 고압가스를 분출시켜 추진력을 얻게하는 장치)와 터보펌트(고압으로 연료와 산화제를 주는 장치) 그리고 가스 발생기(터보펌프를 구성시키는 것) 으로 액체로켓 엔진은 최고의 엔진성능을 내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이고, 그러헤 때문에 안정성 유지와 확보를 위해 발사 모의 시험이 필요하다.
누리호의 75톤급 액체엔진으 지속적인 연소시험의 성과와 개발초기에 나타났던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는 부분에 대하 약점을 보완하며, 그 성능과 작동을 시험을 통해 극복했습니다.
총 2020년 11월 기준, 75톤급의 엔진 25기가 제작완료 외었고, 총 시험이 168회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연소시험에 이어 지상과 고공 연소시험을 누리호 2단, 3단의 구간에서 반복실험을 하였다. 2단의 75톤급 액체엔진, 3단의 7통급 엔진의 시험을 통해 추진기관 성능점검을 최종하여 그 특성을 파악해 오고 있습니다.
누리호의 75톤급 액체엔진 총 4기를 클러스팅 방식을 사용해 묶어 300톤의 추진력을 일으키는 것이 누리호 1단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며, 4기엔진의 압력, 유량이 하나의 엔진과 같은 역할과 성능발휘를 해야만, 균형 유지와 신뢰성 있는 엔진 실험과 기술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누리호의 역할과 전망
누리호는 한국의 달 탐사미션의 궤도선 및 착륙선을 보내는 지원을 하는 역할과 중형, 정찰위성 등 지구관측을 위한 위성발사용 로켓의 역할을 하고 있다. 100% 국산 제작 기술로 만든 3단 우주 발사로켓으로 길이는 47.2m, 무게는 약 200톤에 이르며, 지구 저궤도로 600~800km 에 위성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감당합니다.
미래 우주항공의 역할을 감당한 누리호 발사를 위해, 300여개의 기업이 37만개의 부붐 제작, 시험과 조립을 콜라보했으며 13년동안 1조 9572억원의 비용을 투자하였습니다.
대표기업으로 한화와 KAI는 누리호 기술을 강화하는 역할과 그 프로젝트의 사업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
정부주도의 우주개발과 항공발전을 이룸과 동시에 누리호를 기반으로 민간중심의 우주정책도 같이 수반되고 있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볼수 있습니다.
'Sav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인터넷 마이너스 통장 3개 은행 발급대상, 금리 등 알아보기 (0) | 2023.05.30 |
---|---|
대한민국 학사장교 지원방법, 향후 전망 알아보기 (0) | 2023.05.26 |
소액 생계비 대출 신청방법, 사전예약, 대출정보 알아보기 (0) | 2023.05.25 |
6월 가볼만한 축제들, 문화예술, 체험 등 다양 (0) | 2023.05.25 |
피프티 피프티 빌보드 차트 연속진입! 한국 K-pop 문화선도와 영향력 (0) | 2023.05.24 |